우리나라 대통령 순서 임기 기간

안녕하세요, 여러분!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 그 역사의 중심에는 늘 ‘대통령’이 있었습니다. 때로는 격동의 시기를 이끌었고, 때로는 국민과 함께 웃고 울었던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오늘은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의 순서와 임기 기간을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몇 대 대통령까지 알고 있을까?”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함께 따라오시면 더욱 흥미로운 시간이 될 거예요!

대한민국의 대통령 제도는 헌법 개정에 따라 임기나 선출 방식에 변화가 있었는데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면 각 대통령의 시대를 더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대한민국 역사의 중요한 페이지를 장식한 대통령들을 만나러 가볼까요?

우리나라 대통령 순서 임기 기간

📜 대한민국 대통령, 그 시작과 변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초대 대통령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대통령들이 국가를 이끌어왔습니다. 각 대통령의 임기와 주요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제1공화국 ~ 제2공화국: 혼란 속의 민주주의 여정

  • 이승만 (1~3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3선까지 연임했습니다. 6.25 전쟁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겪었고, 장기 집권을 위한 헌법 개정(사사오입 개헌) 등으로 많은 논란을 낳기도 했습니다. 결국 1960년 4.19 혁명으로 하야하게 됩니다.
    • 임기: 1948년 7월 24일 ~ 1960년 4월 27일
  • 윤보선 (4대): 4.19 혁명 이후 제2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당시 대한민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여 대통령은 상징적인 국가원수였고, 실권은 국무총리에게 있었습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사임했습니다.
    • 임기: 1960년 8월 12일 ~ 1962년 3월 22일

이 시기에는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여러 차례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허정, 곽상훈, 백낙준 등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 공백을 메웠습니다.

2️⃣ 제3공화국 ~ 제5공화국: 산업화와 민주화의 갈망

  • 박정희 (5~9대):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거쳐 1963년 제5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습니다. 이후 1979년 10.26 사태로 서거하기까지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등을 통해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급격한 산업화를 이끌었습니다. 반면, 유신헌법을 통한 장기집권과 민주주의 억압이라는 비판도 동시에 받았습니다.
    • 임기: 1963년 12월 17일 ~ 1979년 10월 26일
  • 최규하 (10대):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국무총리로서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다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러나 12.12 군사반란 등으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기 어려웠고, 결국 신군부의 압력으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사임했습니다.
    • 임기: 1979년 12월 6일 ~ 1980년 8월 16일
  • 전두환 (11~12대): 12.12 군사반란을 통해 실권을 장악한 후,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이후 5공화국 헌법에 따라 제12대 대통령으로 연임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3저 호황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이 이어졌으나,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등 민주주의 탄압으로 큰 저항에 직면했습니다.
    • 임기: 1980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최규하 국무총리가, 최규하 대통령 사임 후 박충훈 국무총리 서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습니다.

3️⃣ 제6공화국 ~ 현재: 민주주의 정착과 새로운 도전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고, 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후 대통령의 임기는 5년 단임제로 확립되었습니다.

  • 노태우 (13대):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첫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88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고, 북방정책을 추진하여 공산권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
    • 임기: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김영삼 (14대): 문민정부 시대를 열며 금융실명제 실시,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임기 말 IMF 외환위기를 맞으며 국민적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임기: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김대중 (15대):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평화적 여야 정권 교체를 이루었습니다. IMF 외환위기 극복에 힘썼으며,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 임기: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노무현 (16대): 참여정부를 이끌며 권위주의 청산과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재임 중 탄핵소추안이 발의되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었습니다. 한미 FTA 체결 등의 업적이 있습니다. (고건 국무총리가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기간 동안 권한대행)
    • 임기: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 이명박 (17대): 실용주의를 내세우며 경제 성장을 강조했습니다. 4대강 사업,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했습니다.
    • 임기: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 박근혜 (18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창조경제를 내세웠으나,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되어 임기를 마치지 못했습니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탄핵 결정 이전부터 권한대행)
    • 임기: 2013년 2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 문재인 (19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조기 대선에서 당선되었습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 권력기관 개혁 등을 주요 과제로 삼았습니다.
    • 임기: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 윤석열 (20대): 현재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 공정과 상식을 국정 운영의 핵심 가치로 제시하며 국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 임기: 2022년 5월 10일 ~ 현재 (임기 만료: 2027년 5월 9일 예정)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순서 및 임기 상세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초상 이미지는 생략했습니다.)

대수 이름 (생몰년) 임기 선거 / 득표율 정부 정당
1 이승만 (1875~1965) 1948년 7월 24일 ~ 1952년 8월 14일 1948 간선 91.84% 이승만 정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1951)
자유당 (1951~1960)
2 이승만 (1875~1965)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1952 직선 74.61% 이승만 정부 자유당
3 이승만 (1875~1965)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7일 1956 직선 69.98% 이승만 정부 자유당
허정 (과도내각수반 권한대행) 1960년 4월 27일 ~ 1960년 6월 15일
곽상훈 (민의원의장 권한대행) 1960년 6월 16일 ~ 1960년 6월 23일
허정 (국무총리 권한대행) 1960년 6월 23일 ~ 1960년 8월 8일
백낙준 (참의원의장 권한대행) 1960년 8월 8일 ~ 1960년 8월 12일
4 윤보선 (1897~1990) 1960년 8월 12일 ~ 1962년 3월 22일 1960 간선 79.09% 윤보선 정부 무소속 (1960~1962)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권한대행) 1962년 3월 22일 ~ 1963년 12월 16일
5 박정희 (1917~1979)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1963 직선 46.64%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1963~1979)
6 박정희 (1917~1979)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1967 직선 51.44%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7 박정희 (1917~1979)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 1971 직선 53.19%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8 박정희 (1917~1979)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1972 간선 99.92%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9 박정희 (1917~1979)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 1978 간선 99.85%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최규하 (국무총리 권한대행)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6일
10 최규하 (1919~2006) 1979년 12월 6일 ~ 1980년 8월 16일 1979 간선 96.29% 최규하 정부 무소속 (1979~1980)
박충훈 (국무총리 서리 권한대행) 1980년 8월 16일 ~ 1980년 8월 27일
11 전두환 (1931~2021) 1980년 8월 27일 ~ 1981년 2월 24일 1980 간선 99.37% 전두환 정부 무소속 (1980~1981)
민주정의당 (1981~1988)
12 전두환 (1931~2021) 1981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4일 1981 간선 90.11% 전두환 정부 민주정의당
13 노태우 (1932~2021)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1987 직선 36.64% 노태우 정부 민주정의당 (1988~1990)
민주자유당 (1990~1992)
무소속 (1992~1993)
14 김영삼 (1927~2015)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1992 직선 41.96% 김영삼 정부 민주자유당 (1993~1995)
신한국당 (1995~1997)
무소속 (1997~1998)
15 김대중 (1924~2009)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1997 직선 40.27% 김대중 정부 새정치국민회의 (1998~2000)
새천년민주당 (2000~2002)
무소속 (2002~2003)
16 노무현 (1946~2009)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2002 직선 48.91% 노무현 정부 새천년민주당 (2003)
무소속 (2003~2004)
열린우리당 (2004~2007)
무소속 (2007~2008)
고건 (국무총리 권한대행) 2004년 3월 12일 ~ 2004년 5월 14일
17 이명박 (b. 1941)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2007 직선 48.67% 이명박 정부 한나라당 (2008~2012)
새누리당 (2012~2013)
18 박근혜 (b. 1952) 2013년 2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2012 직선 51.55% 박근혜 정부 새누리당 (2013~2017)
자유한국당 (2017)
황교안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6년 12월 9일 ~ 2017년 5월 9일
19 문재인 (b. 1953)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2017 직선 41.08%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 (2017~2022)
20 윤석열 (b. 1960) 2022년 5월 10일 ~ 2025년 4월 4일 2022 직선 48.56% 윤석열 정부 국민의힘 (2022~)

참고: 위 표의 ‘대수’는 선거를 통해 구분된 대통령직의 횟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승만 대통령은 1~3대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대통령의 소속 정당은 재임 기간 중 변경될 수 있으며, 주요 정당을 표기했습니다. 권한대행은 정식 대통령은 아니나,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한 주요 인물을 포함했습니다.

21대 이재명 대통령(b.1963) , 임기기간 : 2025년 6월 4일 ~ 2030년 6월 3일

✨ 알아두면 좋은 정보: 대한민국 대통령

  • 대통령의 지위: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국군 통수권자입니다. 국가를 대표하고 정부를 이끄는 막중한 책임을 지닙니다.
  • 역대 대통령 인원: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현재(2024년 기준)까지 총 13명의 인물(권한대행 제외)이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 임기: 현행 헌법(제9차 개헌, 1987년)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할 수 없습니다. 그 이전에는 헌법에 따라 임기 규정이 달랐습니다. (예: 4년 중임제, 7년 단임제 등)
  • 특이사항:
    • 임기 중 사임: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
    • 재임 중 서거 (암살): 박정희
    • 재임 중 탄핵: 박근혜 (노무현 대통령은 탄핵소추안 발의 후 헌법재판소에서 기각)
  • 대통령 권한대행: 대통령이 사망하거나, 사임하거나, 탄핵되는 등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국무총리(헌법상 순서에 따라) 등이 그 권한을 대행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맺음말: 역사를 통해 미래를 보다

오늘은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들의 순서와 임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초대 이승만 대통령부터 현재 윤석열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각 대통령들은 시대적 과제와 국민적 요구 속에서 대한민국을 이끌어왔습니다.

대통령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단순히 과거를 아는 것을 넘어,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됩니다. 앞으로도 대한민국이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키고, 국민 모두가 행복한 나라로 나아가기를 기대해 봅니다.

오늘 내용이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라며,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